스프링3 [Spring] application filter와 security filter 로그인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 스프링 시큐리티에 대해 찾아보면서 정리한 글이다. 스프링에서 서블릿으로 리퀘스트가 넘어가기 전에 필터를 거치게 할 수 있다. 공부 과정에서 ApplicationFilterChain에서 적용되는 그냥 filter와 SecurityFilterChain에서 적용되는 security filter가 헷갈려서 여기 기록을 남긴다. 1. application filter chain과 security filter chain은 다르다 이 필터 체인을 application filter chain이라 한다. 그리고security filter chain은 따로 있다. DelegatingFilterProxy는 필터의 일종으로, 미리 지정한 targetBeanName을 기준으로 bean 객체를 찾아 .. 2023. 7. 28. [Spring]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. 1. 생성자 주입 @component 어노테이션과 @Autowired 어노테이션의 조합이다. @Service public class NodeEditService { @Autowired private final NodeRepository nodeRepository; @Autowired private final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; public NodeEditService(NodeRepository nodeRepository,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) { this.nodeRepository = nodeRepository; this.boardRepository = boardRepository; } .. 2023. 7. 26. [Spring] bean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하는 방법 bean을 등록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. 1. @component 어노테이션 빈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클래스 위에 @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된다. 흔히 사용하는 @controller, @service, @repository 같은 어노테이션도 @component의 일종이다. 보통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객체를 등록하고 싶을 때 자주 사용한다. 2. @configuration, @bean 어노테이션 @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의 설명을 보면 Indicates that a class declares one or more @Bean methods and may be processed by the Spring container to generate bean definitions and se.. 2023. 7. 26. 이전 1 다음